GitHub
1. 왜 가설사고가 필요한가 문제 해결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가설사고는 해답부터 생각하는 것이다. 가장 좋은 해답을 가장 짧은 시간에 찾아내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일단 해답을 내놓고 그것을 분해서해서 증명한다. 일을 시작하기 전에 가설을 세우면 무엇을 해야 할지 그 대상이 분명해지고 논점도 좀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다. 보는 것만으로 해답을…
정보가 많으면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까? 사람이 비즈니스에서 모든 것을 조사한다는 진행방식을 활용해서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이른 단계에서 가설을 세울 수 있으면 좋은 결과를 얻는다 일처리가 빠른 사람은 한정된 정보를 토대로 다른 사람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고, 해결책과 연결 할 수 있는 사고법을 갖추고 있다. 가설은 …
내향인도 발표 고수로 만드는 직장인의 발표 스킬 10가지 회의, 보고, 발표할 때 바로 써먹는 회사어 전략 - 직장인의 말하기3 [실전편] 회사어도 외국어다: 0개 국어 탈출을 위한 직장인의 말하기1 [이론편] 회사어 완전 정복! 4주 커리큘럼 - 직장인의 말하기2 [ 연습편] 발표의 기본은 말하기와 태도 1. 회의, 보고, 발표할 때 바로 써먹는 회사어 …
지은이 서문 이펙티브 엔지니어란 어떤 개발자일까? 효울적으로 임무를 완수하는 사람 가치와 효과를 내는 데 집중하며 어떤 성과를 낼지 선택할 줄도 아는 사람 일한 시간당 생산하는 가치의 비율로 정의된다. 이 책에서 배우는 내용 효율성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개발자들이 종종 간과하는 것이 이다. 메타 기술은 시간과 에너지를 어디에 집중해야 들어간 노력에 대비 더…
이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좋은 이름 짓기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의 비교 이름과 인지 과정 간의 관계 파악 다양한 명명법의 효과 잘못된 이름이 버그 및 오류에 미치는 영향 변수 이름을 구조화하여 이해도를 극대화하는 방법 서론 8장부터는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좋은 이름을 사용하면 LTM을 활성화하여 코드 도메인에 대해 이미 알고 …
신입 개발자를 효과적으로 온보딩한다면 직접 만든 어떤 코드보다 더 큰 효과를 낼 것이다. 레버리지를 효과성의 측정 기준으로 삼아라 레버리지란 투자한 시간당 생산한 가치, 또는 효과이다. 레버리지 = 생산한 효과 / 투자한 시간 레버리지는 투입한 노력에 대한 이다. 이펙티브 엔지니어는 업무를 효율적으로 완수하고, 제한된 시간에 더 많은 가치를 생산한다. 레…
1급 객체의 조건 3가지 변수나 데이타에 할당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객체의 인자로 넘길 수 있어야 합니다. 객체의 리턴값으로 리턴 할수 있어야 합니다. 자바에서의 1급 객체란? JAVA에서는 함수가 1급 객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Kotlin, JavaScript 등의 언어에서는 변수에 함수를 할당하고 사용할 수 있지만 JAVA는 불가능합니다. JAVA…
추상화 기법 추상화는 도메인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직관적인 멘탈 모델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인지 수단입니다. 사람들은 도메인에 존재하는 개념들을 구조화하고 단순화하기 위해 다양한 추상화 기법을 사용합니다. 특성을 공유하는 객체들을 동일한 타입으로 분류하는 것은 객체지향 패러다임에서 사용하는 추상화 기법의 한 예입니다. 추상화 기법 객…
타입스크립트의 타이핑 자바스크립트는 덕 타이핑(duck typing) 기반이고 타입스크립트가 이를 모델링하기 위해 을 사용합니다. 타입스크립트가 구조적 타이핑을 도입한 이유는 동적 타입 언어인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Java 기반의 객체지향에서는 을 사용합니다. 구조적 타이핑이란? 구조적 타이핑은 값 자체의 타입보다는 값이 가진 에 기반…
1. 프로토타입 객체 Java, C++과 같은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클래스 없이(Class-less)도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ECMAScript 6에서 클래스가 추가되었습니다.) …